본문 바로가기

꿈을 위해서!135

honest mistake, solid, heads up, hump day, RSVP 1) honest mistake 의도치 않은 실수 It was an honest mistake. 2) solid 믿음직한/탄탄한/괜찮은/중단 없는 (고체처럼 쉽게 변하지 않는 꽉차고 견고한 느낌) Good but nothing special solid idea 좋은 생각 (wonderful idea까지는 아님) 3) Thanks for the heads up 미리 귀띔해줘서 고마워 Heads up, + 주의사항 4) hump day (한 주의 고비인) 수요일 Happy hump day! 한 주의 고비를 잘 넘겨보자는 뉘앙스 5) RSVP 참석 여부를 회신 부탁드립니다. (불어에서 유래) I'll be there. 갈게요. I can't make it. 저 가려고 했는데 못 가요. I don't think.. 2020. 5. 19.
이온-임플란테이션 방식으로 소스와 드레인 단자 만들기 원자격자배열이 111 혹은 100인 p-도펀트 타입 웨이퍼가 연마를 마치고 반도체 제조 라인으로 들어오면, 제일 먼저 웨이퍼 위에 N-Well 1개를 마련합니다. 일반적으로 동작은 트랜지스터(Tr) 2개를 쌍으로 동작시키는 CMOSFET를 구성하므로 N-Well에 Tr 1개, Well 옆에 추가로 Tr 1개를 위치시킵니다. (혹은 P-Well, N-Well 1개씩 총 2개 Well을 설치해 각 Well에 1개씩 Tr를 만들기도 합니다) Tr을 만드는 것은 단자 3개를 형성하는 것이고, 단자를 형성한다는 것은 단자 영역과 단자 외 영역을 구분해 불순물 농도를 다르게 둔다는 것입니다. 소스/드레인 단자를 만들 때 초창기에는 확산 방식을 적용했다면, 지금은 정확도를 더 높인 이온-임플란테이션 방식을 사용합니다.. 2020. 5. 19.
소스와 드레인 단자 만드는 공정 반도체는 순수물질인 실리콘과 순수물질이 아닌 물질(불순물)을 지그재그로 층을 배치해 만듭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트랜지스터는 4개 단자(기판에 해당하는 Well을 만드는 경우까지 포함할 경우) 모두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합니다. 절연체에 가까운 상태인 순수실리콘만으로는 아무 기능을 하지 못하는 그저 뻣뻣한 나무토막에 지나지 않는데, 이 속에 외부에서 불순물을 불어넣어 소자가 다양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도핑입니다. 도핑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번 시간에는 4개 단자 중 쌍둥이 단자인 소스와 드레인 단자를 만드는 데 있어 초창기에 적용했던 ‘확산 방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도핑, 소스/드레인 단자를 만드는 핵심 방식 ▲ 소스/드레인 단자를 형성하는 도핑 방식 : 확산, 이온 임플란.. 2020. 5. 19.